2일 뉴스1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서울서 매매가격과 전셋값 격차 2억원 미만 갭투자 거래는 41건으로 집계됐다.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골드파크3차' 전용 59㎡는 지난해 12월7일 7억9500만원에 팔렸다. 해당 매물은 20일 후 보증금 7억원에 신규 전세 계약이 등록됐다. 매매가격과 전셋값 격차는 9500만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12월2일 7억원에 거래한 노원구 하계동 '현대우성' 전용 84㎡도 2주 후에 5억8000만원에 신규 전세 계약이 등록됐다. 매매와 전세 격차는 1억2000만원이다.
강서구 등촌동 '등촌아이파크' 전용 84㎡ 역시 지난해 11월28일 7억원에 매매했다. 약 3주 후인 12월16일 5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등록되면서 1억5000만원의 갭투자가 이뤄졌다.
이 밖에 관악구 봉천동, 양천구 신월동, 은평구 응암동, 성북구 하월곡동, 구로구 개봉동, 중랑구 상봉동, 도봉구 방학동, 성동구 금호동 등에서 이전 최고가 대비 3억~4억원 내린 급매물을 산 뒤 전세를 준 2억원 미만 갭투자가 등록됐다.
부동산업계는 일부 투자자들이 급매물을 저점 가격대로 판단, 갭투자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1·3 부동산 대책으로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곳이 규제지역에서 해제, 이 같은 갭투자 사례는 증가할 것으로 봤다.
전문가들은 고금리와 시장 하락기에 이 같은 갭투자는 위험도가 높다고 했다.
시세차익 6억 과천 '줍줍' 나왔다…오늘 하루 접수 (0) | 2023.02.06 |
---|---|
HUG, 대신 갚아준 전세금 중 7000억 못 돌려받아 (0) | 2023.02.04 |
'강남장벽' 깨뜨린 龍 … 용산 집값, 송파 제치고 3위 (0) | 2023.02.03 |
전세사기 대책` 나왔는데…피해자들 눈물 닦아줄까 (0) | 2023.02.03 |
적정 시세·집주인 정보 한 눈에···국토부, 안심전세 앱' 출시 (0) | 2023.02.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