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지역이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보다 1인당 평균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영석 의원은 28일 서울 구별로 올해 1인당 평균 주택분 종부세를 2년 전과 비교한 결과 강북구는 115만원(158만→273만원), 도봉구는 77만원(109만→186만원), 노원구는 73만원(117만원→190만원)씩 각각 올랐다고 밝혔다.
금천 203만원(135만→338만원), 관악 126만원(149만→276만원), 구로 115만원(135만→250만원) 등 금관구 지역 상승 폭은 노도강보다 컸다.
강남 4구 중 강남은 104만원(360만→464만원)으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서초 73만원(288만→361만원), 송파 57만원(151만→208만원), 강동 46만원(134만→180만원) 순이었다.
마용성 중 마포 37만원(174만→211만원), 성동 39만원(213만→252만원) 등 상승 폭이 50만원 미만이었고 용산은 593만원에서 487만원으로 106만원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25개구 중 1인당 종부세가 2년 전보다 감소한 곳은 용산이 유일했다.
1인당 종부세가 가장 많이 오른 서울 자치구는 중구였다. 2년 전 605만원에서 올해 856만원으로 251만원이 올랐다. 금천구도 135만원에서 338만원으로 203만원이 증가했다.
이어 은평(132만원), 관악(126만원), 강서(116만), 강북, 구로(115만원), 강남, 종로(104만원)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증가 폭이 작은 곳은 마포(37만원), 성동, 성북(45만원), 강동, 동작(51만원), 양천(54만원) 순이었다.
윤 의원은 “고가 주택이 몰린 용산, 서초, 마포, 양천 등의 1인당 종부세 증가분보다 서울 강북권·서남권 증가분이 크다는 것은 종부세가 불평등한 세금이라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등록임대-재건축 안전진단 규제완화” (0) | 2022.11.29 |
---|---|
종부세 5년 만에 서울 11개구 1000% 이상 증가…금천 2620% 폭등 (0) | 2022.11.28 |
다중 채무 '악성 임대인'…제 전세보증금 받을 수 있나요 (0) | 2022.11.26 |
“2시간 줄서서 간신히 했다”… 부기등기 시한 앞두고 임대사업자 ‘혼란’ (1) | 2022.11.26 |
공시가 현실화 긍정적, 거래량·집값 상승 반전은 한계 (0) | 2022.11.25 |
댓글 영역